본문 바로가기
  • 어른의 여행, 트래블러스랩
  • 어른의 여행 큐레이션, 월간고재열
  • 어른의 허비학교, 재미로재미연구소
재미로재미연구소

조국의 최동원, 이준석의 배영수, 김성수의 김건우, 그리고 다음은 누구?

by 독설닷컴, 여행감독1호 2014. 2. 16.


주) 시사IN에 '스포츠 잘 모를 것 같은데 의외로 정통한 사람의 스포츠칼럼'이 연재되고 있습니다. 

조국 - 롯데 자이언츠, 이준석 - 삼성 라이온즈, 김성수 - LG 트윈스의 글이 게재되었습니다. 

다른 팀 관련 원고도 받고 싶은데... 누가 필자로 좋을까요? 





누구에게나 인생은 ‘강속구’

원문 :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9216


역대 최고의 한국시리즈 중 하나로 꼽히는 1984년 경기에서 자이언츠는 당시 최강이던 삼성 라이온즈를 맞아 혼자 4승을 거둔 최동원의 무쇠팔 덕에 7차전까지의 승부 끝에 우승을 차지한다. 당시 라이온즈가 약체인 자이언츠를 한국시리즈 상대로 골랐다는 말이 있었으나, 호되게 당하고 만다. 이후 최동원의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 활동을 보면서 나는 그와 개인적 교감을 넘어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었다.


그때나 지금이나 스타급이 아닌 선수들의 인권과 복지는 취약하다. 당시 최고급 대우를 받던 최동원은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총대’를 멨다. 최동원의 선수협 조직을 위한 법률 조언을 민주당 문재인 의원이 맡았음은 이제 잘 알려져 있다. 이후 최동원은 선수협 주동자라는 낙인이 찍혀 전 구단에서 왕따를 당했고, 1988년 팀에서 방출당해 라이온즈로 갔다가 1990년 반강제로 은퇴한다.


이후 최동원은 잠시 정치의 길을 걷는다. 만약 그가 고교 선배 김영삼을 따라 1990년 ‘3당 합당’으로 만들어진 민주자유당에 합류했더라면 국회의원이건 지방의원이건 떼놓은 당상이었을 터인데, 이를 거부하고 노무현·김정길 등의 ‘꼬마 민주당’을 선택했다가 낙선한다. 그의 선거 구호는 “건강한 사회를 향한 새 정치의 강속구”였다. 안철수 의원이 좋아할 만한 구호다. 


낙선 후 방송에서 오락 프로그램에 출연한 그를 보았을 때 굴욕감을 느꼈다. ‘영웅’이 ‘광대’가 되도록 만든 현실에 화가 났다. 그는 2001년 한화 야구단의 코치로 복귀해 마지막 야구인생을 불태웠고, 자이언츠 구단 최초의 영구 결번(11번) 주인공이자 영원한 전설이 되어 동료 선후배는 물론 팬들의 마음속에 살아 숨쉬고 있다.




그가 5이닝 7실점으로 승리 투수 되겠지? - 이준석

원문 :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8208


내가 삼성 라이온즈의 배영수 선수를 개인적으로 매우 좋아하게 된 것은 바로 “상수야, 상수야” 사건 때문이었다. 고등학교 9년 후배인 유격수 김상수 선수가 어이없는 실책 두 개를 저질러 뼈아픈 실점을 하게 되었을 때, 그 상황을 겪은 배영수 선수가 투수판을 밟고 가장 먼저 했던 행동은 굳은 표정으로 서 있는 김상수 선수에게 “상수야, 상수야”라고 크게 부르며 괜찮다는 사인을 보낸 것이다. 중계 카메라에 잡힌 그 장면을 보고 배영수 선수가 지금까지 프로야구 판에서 많고 많았던 1등이 아니라 한 팀의 정신적인 리더였음을 알게 되었다.


1등은 정해진 기준이 있을 때 그 기준에 맞춰 가장 뛰어난 효율이나 성과를 내는 사람 1인에게 주어지는 정량적인 칭호이다. 가장 승률이 높은 선수, 가장 방어율이 높은 선수 등을 말한다.그에 비해 리더는 정성적인 요소들을 기준으로 공감대를 통해 형성되는 자리다. 구성원들이 “저 사람이 우리 조직을 이끌었을 때 우리가 잘되겠구나”라는 믿음을 가져야 인정받을 수 있는 자리라는 것이다. 대학 진학률이 80%에 근접하고 대다수가 넘치는 지식을 갖춘 상황에서, 리더라는 위치로 발돋움해 인정받는 게 학력이나 학벌만으로 가능하지 않은 것처럼, 고등학교 때는 저마다 날고 긴 경력을 가진 프로 선수들 사이에서 리더로 인정받는 것은 다른 팀원들의 열정과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갖췄음을 의미한다.


야구 통계 중에서 크게 관심을 받지 못하는 통계 가운데 ‘득점 지원율’이라는 수치가 있다. 어떤 투수가 등판했을 때 과연 타선이 얼마나 많은 득점을 내어 지원해주었는지 통계로 보여주는 것인데, 배영수 선수는 삼성 라이온즈의 다른 투수들보다 매 경기 1점 가까운 득점 지원을 더 끌어내고 있다. 어쩌면 당연할 수 있는 것이, 야수가 실책을 했을 때 주먹으로 벽을 치는 투수가 마운드에 있을 때와, 큰 실수를 해도 괜찮다며 신경을 써주는 투수가 있을 때 동료들이 경기에 임하는 마음가짐이 달라지지 않을까.


멀리 진시황부터 로마의 술라와 읍참마속의 제갈량까지, 실수를 실수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딱딱한 법에만 충실했던 지도자들이 결국 영속적인 사회체제를 만들어내지는 못했던 것에 비해, 자신이 암살당하면서까지 사람의 허물보다 가능성을 보고자 했던 카이사르가 장기간 이어지는 로마 제정의 체계를 확립했던 것을 상기해보면, 우리 사회가 진정한 리더들을 많이 보유하지 못한 것이 최근의 여러 사회 불안들을 야기하는 것은 아닌지 고민하게 된다. 누군가를 ‘꼴통’으로, 다른 누군가를 ‘종북’이라고 낙인찍기 전에 여유와 자신감을 먼저 보여줄 수 있는 리더는 정녕 없는 것일까?




청룡에서 트윈스까지 나의 ‘야구 유산’ 연대기 - 김성수 

원문 :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8121

 

1982년 3월27일. 한 소년이 텔레비전 앞에 앉아 있었다. 프로야구 원년 개막전 연장 10회 말이었다. MBC 청룡의 김인식 선수가 공을 몸에 맞고 1루로 나갔고, 소년의 가슴이 뛰기 시작했다. 뒤이어 믿었던 김용운 선수의 범타 후 헐렁이 같은 폼의 김용달 선수가 좌전 안타를 때렸고, 발 빠른 김인식이 단숨에 3루까지 내달려 1사 2, 3루가 되자 소년은 자리에서 벌떡 일어날 수밖에 없었다.


소년이 MBC 청룡(LG 트윈스의 전신)을 응원하기로 마음먹은 것은 참으로 유치한 이유에서였다. 원년 6개 팀 중 유일하게 한글(정확히는 한자이지만) 팀명을 가진 ‘청룡’. 어설픈 민족주의자로 나 홀로 일식집 불매운동(?)을 하던 소년은 ‘청룡’이라는 이름이 너무도 사랑스러웠고, 한국 국적으로 일본 프로야구를 유린한 백인천 감독 겸 선수까지 합류했다는 것도 무척 자랑스러웠던 것이다. 소년은 세 쌍둥이 남동생들에게도 이런 논거를 대며 압력을 행사했고, 최소한 개막전에서는 온 가족이 청룡 팬이 되어 TV 앞에 모여 있었다.


선린상고 시절의 김건우 선수. 그는 프로에 진출한 이후 영광과 좌절을 겪었다. 사실 다음 타석에 유승안 선수가 등장했을 때 소년은 경기가 끝날 줄 알았다. 이미 4타점이나 올린 강타자였기에. 하지만 그는 타점 욕심이 났는지 스리 볼 나싱에서 빠지는 볼을 건드리고 만다! 홈런 타자 백인천은 당연히 고의사구로 걸어나갔고 2사 만루가 된다. 국가대표 출신 이선희 투수 앞에 타석의 이종도 선수는 작아만 보였다. 그런데 투 볼 이후 힘차게 돌아간 방망이와 담장을 훌쩍 넘는 야구공을 보고 소년과 세 쌍둥이 동생들은 얼싸안고 춤을 추었다. 그 후로 오늘 이 순간까지, 소년은 줄곧 LG 팬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