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어른의 여행, 트래블러스랩
  • 어른의 여행 큐레이션, 월간고재열
  • 어른의 허비학교, 재미로재미연구소
항상 위기인 한국의 대학/위기의 대학언론

위기의 대학언론, 그러나 답은 있었다

by 독설닷컴, 여행감독1호 2009. 1. 24.


'독설닷컴'에서는
'위기의 대학언론'이라는 주제로
대학언론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대학언론 중에서도 마이너리티인
대학교 교지 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고대 교지 <고대문화> 출신인
정철운님이 이에 대한
좋은 답을 보내와서 공개합니다.






@ '위기의 대학언론' 관련 포스팅입니다.

2009/01/14 - [항상 위기인 한국의 대학/위기의 대학언론] - "대학교 교지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2008/12/17 - [항상 위기인 한국의 대학/위기의 대학언론] - '학교 비판보도 안하겠다' 각서 쓰는 대학기자들
2008/12/05 - [항상 위기인 한국의 대학/위기의 대학언론] - 삭제된 명지대신문 기사, 누구의 잘못인가?
2008/12/04 - [항상 위기인 한국의 대학/위기의 대학언론] - '울산대신문'을 통째로 도둑맞았습니다




대학언론,
잃은 것은 무엇이며 찾아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글 - 정철운
고려대 사회학과 4학년
(전) 교지 <고대문화> 편집위원
(전) 고려대 언론자치협의회 운영위원


 대학언론의 위기는 대학 내 정치의 위기, 다시 말해 지금까지 대학생에게 기대되었던 일정정도의 정치적 관심이나 사회비판의식의 실종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대학언론 자체에 큰 위기는 없다. 대학언론사의 대부분은 여전히 망하지 않고 돌아가고 있다. 만약 학내에 ‘보수’언론이 늘어나는 것을 두고 ‘위기’라고 말한다면, 이는 몇몇 ‘진보적’ 대학언론사의 자의적 판단일 뿐이다. 언론사의 정치적 성향은 존중해야 한다.


대학언론에서 보다 진짜 ‘위기’를 이야기 하자면, 대학언론만의 정체성이 없는 것이다. 다시 말해 대학언론의 정치가 기성언론의 정치에 편입된 것이다. 더 정확히는 대학생만의 관점이 사라졌는데, 진보를 지향하는 대학언론사가 대학생의 관점을 하나로 모으고 보수언론을 압도할 수 있는 콘텐츠를 생산해내지 못한 채 독자와 이별해버린 결과다.


대학생들만의 담론이 부재한 것은 대학언론의 변화만으로 해결할 수는 없는 문제이지만, 대학언론이 ‘대학생 담론’이 부족한 상황에 원인을 제공한 것은 일정부분 사실이다. 기존의 관성적인 담론을 유지하고 알리는 데만 급급했던 진보적 대학언론들은 논의를 심화, 발전시키는 노력이 부족했다. 그 결과, 이들 언론사에는 ‘강변’이라는 말이 들리고 ‘XXX 찌라시’라는 웃지 못 할 비난을 받게 되었다. 많은 교지와 독립매체들은 폐간되어야 했다.



대학언론의 진짜 위기는 정체성이 없다는 것이다


 필자가 2년 넘게 몸담았던 <고대문화>도 많은 학생들의 외면과 비난을 받았다. 위기의식을 느꼈던 선배들은 2003년부터 학기간제(일 년에 두 권)에서 월간화(일 년에 여섯 권)로의 변화를 단행했다. 독자들과 좀 더 소통하고 정세적인 분석 기사를 쓰기 위해서였다. 여태껏 가지고 있던 좌파 학술매체로서의 성격과 특정 정파를 대변하던 성격은 과감히 버려야 했다.


대신 ‘대항언론’이라는 방향성을 잡았다. 책은 월간 <말>지의 형식을 빌려왔고, 사진부를 만들어 사진의 비율과 질을 높였다. 무엇보다 강변하는 어투부터 버려야 했다. 매주 한 번씩 여덟 시간이 넘는 회의와 일주일간의 실무 작업이 동반되었다.


6년이 지난 지금, <고대문화>는 안정적으로 과월호를 생산하고 있다. 책에 실리는 아이템은 보통 다른 학내매체(소위 경쟁사)에서 다루지 않는 것들이 많다. 출교사태는 출교가 있은 뒤부터 출교가 끝날 때까지 다루었다. 총학생회선거, 학생운동, 대학평의원회, 대학생협, 수업권 일반의 주제들을 다루었다. 대추리, 이랜드, 신자유주의에 대한 논의부터 연애, 성적소수자 문제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해 학생들과 소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사실 아이템 주제보다는 그 주제를 어떻게 풀어내느냐가 중요한 문제였다. 부족한 학술적 논의는 외부 기고를 통해 채웠다. ‘고대토론마당’ 코너에서는 정세적인 주제를 투고 형식으로 보여주고, 책의 앞과 중간에는 화보(보통 4페이지)를 배치했다. 글을 쓸 때는 다들 논조를 유지하되 대중성을 놓치지 않기 위해 애썼다. 여전히 부족하지만, 과월호로의 변신과 그 후 <고대문화>가 보여준 변화들은 다른 대학언론들이 참고할만하다고 생각한다.



어떤 주제를 정하느냐보다 그 주제를 어떻게 풀어가느냐가 중요한 문제다


 본질적인 이야기를 해보자. 대학언론은 어떠해야 하는가. 이에 대한 답을 위해서는 우선 ‘대학은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해야 한다. 대학의 정의나 목적, 기능, 한계점 등에 대한 사유의 폭을 넓히고, 문제의식은 대학을 넘어 사회 전반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그 다음에는 매체에 비판의 기능을 복원해야 한다. 이것은 대학언론이 대학생들의 의제를 설정하는 노력에서 시작된다.


언론매체의 중요한 역할은 사회문제를 알리고 해결하는 것이다. 대학언론 또한 대학의 문제를 이야기하고 해결방안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 그렇다면 대학의 문제는 무엇인가. 우선 생각나는 건 수업권이다. 그럼 ‘등록금에 비해 수업의 질이 떨어진다’는 기사를 쓸까?


그러나 소비자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비판만으로는 부족하다. 등록금 인상의 근거, 학내 정치 활동(집회, 세미나)에 대한 불허, 여성과 장애학생의 수업권, 시간강사의 노동조건, 재단의 비민주적 운영부터 총장선출 방식, 대학평의원회의 필요성, 강의 개설권과 영강 의무와 같은 강제적 졸업요건, 교육공공성에 대한 논의, 그 밖의 수업권 관련 쟁점들을 비롯하여 학내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에 관심을 기울이고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뚜렷한 의제설정과 깊은 비판의식은 대학언론이 형성되는 밑거름이 된다. 기자의 논조는 정치성을 드러내되 교조적면 안되고, 어설픈 급진성으로 도덕적 만족감을 얻으려 해서도 안 된다. <무한도전>의 개그코드로 대중성을 갖게 될 거라는 착각에서도 벗어나야 한다. 선택은 기자 몫이다. 대학언론에서 활동하는 학생들은 관성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각과 자신의 관점을 갖기 위한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대학언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재정적인 독립이다


 대학언론의 자유로운 활동을 위해서는 기사를 잘 쓰는 것과 별개로 재정적인 독립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학교의 입김에서 자유로운 자치언론의 활성화를 의미한다. 고대의 경우 언론자치협의회가 있는데, 이곳에서는 한 학기 한 번 들어오는 교지대금(3천원)의 일정부분을 자치언론기금으로 돌려 부족하나마 학내 자치언론들에게 재정적 지원을 해주고 있다.


2005년부터 시작된 교지대 자율납부로 재정상황은 어렵지만, 일단 할 수 있는 데까지는 해보고 그 사이에 대책들이 나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학언론이 힘을 받으려면 학생회 차원의 의견수렴 공간도 필요하다. 고대의 경우 40대 총학생회가 ‘고파스’라는 고대생 커뮤니티를 만들었는데, 고파스 공간의 정치적 성향을 떠나 본교생 모두가 모여 ‘떠들 수’있다는 점, 여론을 보고 소통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었다.


몇 몇 활동가가 대학언론사를 ‘잡는다고’ 대학언론의 위기가 해소되지는 않는다. 학생들이 학내에서 이야기를 해야 한다. 자신의 정치를 드러내며 논쟁하고 사유하는 문화가 어색하지 않은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대학생들이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중요한 변화의 지점에서 하나의 목소리를 낼 수 있다면, 나아가 ‘88만원 세대’의 목소리를 낼 수 있다면, 한국사회가 긍정해야 할 가치들이 강한 목소리를 갖게 될 것이다. 오늘날 대학이 잃은 것은 무엇이며 찾아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답은 대학언론과 대학생들의 몫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