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어른의 여행, 트래블러스랩
  • 어른의 여행 큐레이션, 월간고재열
  • 어른의 허비학교, 재미로재미연구소
조중동 몸살 프로젝트

국민은 조중동 불신하고 MBC 신뢰한다

by 독설닷컴, 여행감독1호 2009. 8. 13.



2007년 9월 창간호에 ‘대한민국 신뢰도 조사’를 실시했던 <시사IN>은 창간 100호 특집으로 이 조사를 다시 실시했다. 2년 만에 실시한 신뢰도 조사에서 변화가 가장 두드러진 분야는 언론이었다. 2년 동안 정권 교체와 촛불집회 등을 거치면서 언론에 대한 국민의 의식 변화가 생겼다는 것이 선명하게 나타났다.

언론 분야의 변화는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났다. 하나는 KBS의 신뢰도가 크게 떨어졌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조·중·동 등 보수 신문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 깊어졌다는 것이다. 마지막 변화는 미디어 양극화가 심화되었다는 것이다. 정치 성향이나 연령대에 따라 혹은 학력에 따라 신뢰하는 미디어가 판이하다는 것이 드러났다.  

     
 
이번 신뢰도 조사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곳은 KBS일 것으로 보인다. 최근 몇 년 동안 미디어 관련 각종 여론조사에서 KBS는 영향력과 신뢰도 부문에서 1위를 굳건히 지켰다. 참여정부 시절 KBS는 영향력 부문에서는 부동의 1위였던 조선일보를 제쳤고 신뢰도 부문에서는 한겨레를 제쳤다. 대한민국 대표 언론으로 군림했던 KBS는 그러나 이번 신뢰도 조사에서 MBC에 왕좌를 내주어야 했다.

‘가장 신뢰하는 언론사’를 묻는 질문에 MBC라고 답한 응답자가 32.1%(복수 응답 기준)로 KBS라고 답한 응답자(29.9%)보다 많았다(1순위 기준으로는 MBC 19%, KBS 18.4%). 비록 차이는 오차 범위 이내지만 2007년 조사에서 KBS가 43.1%로, 35.3%를 기록한 MBC를 여유 있게 제쳤던 것과 비교하면 차이가 크다. KBS의 신뢰도가 무려 13.2% 포인트나 하락했다. 

KBS의 신뢰도가 급락한 것에 대해 김진우 KBS 기자협회장은 “정권이 바뀌면서 사장이 바뀌고 보도국 수뇌부도 교체됐다. 바뀐 수뇌부는 ‘좌편향이었던 KBS뉴스를 원상회복시키자’고 우편향 정책을 폈는데 오른쪽으로 너무 가서 공정성에 심각한 문제가 생겼다. 그동안 신뢰도 1위라는 것에 기자들이 자부심을 느껴왔는데 상처를 받을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이런 KBS의 쇠락을 누구보다 안타깝게 생각하는 사람은 바로 KBS의 전성기를 일구었던 정연주 전 사장이었다. 정 사장 시절 KBS는 영향력과 신뢰도 1위를 기록하고 시청률과 각종 수상 실적에서도 1위를 나타냈다. 해임 무효 소송 선고를 앞두고 있는 정 전 사장은 “안타깝다. 신뢰도 1위라는 것이 나의 유일한 보람이었다. 재판 결과가 나오면 그때는 얘기를 좀 해야 할 것 같다”라고 말했다.

KBS의 신뢰도가 낮아진 것에 대해 이명박 정부의 KBS 장악 문제를 꾸준히 비판해왔던 민주언론시민연대의 정연우 대표는 “낙하산 사장인 이병순 체제가 들어오면서 KBS의 보도 프로그램이 변질되었다. 그리고 권력으로부터 독립이 훼손되었다는 것을 시청자도 알게 되었다. 생각보다 신뢰도가 높게 나온 것 같다. 아마 시청자들이 KBS 상황을 제대로 알게 되면 신뢰도가 훨씬 낮아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정권에 장악된 KBS, 신뢰도 하락

사장 교체 이후에 인사 발령, 프로그램 개편, 출연자 개편을 통해 정권친화적인 방송으로 거듭난 KBS와 MBC는 다른 길을 걸었다. MBC는 <PD수첩> ‘쇠고기 협상’편 이후 정권과 검찰·보수 언론에게 1년 동안 맹공을 당했지만 오히려 신뢰도 1위로 올라섰다. 이에 대해 이근행 MBC 노조위원장은 “MBC를 탄압하고 ‘좌파 방송’이라고 매도했지만 국민은 MBC가 언론으로서 올바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평가해주었다. 방송 독립을 지키기 위한 싸움은 앞으로도 계속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MBC도 내상을 입었다는 것을 이번 조사로 알 수 있다. MBC를 불신하는 언론사로 꼽은 비율이 2007년 6.4%에서 12.0%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1순위로 꼽은 비율은 6.3%에서 7.9%로 늘었다). 정권과 보수 언론의 MBC에 대한 공세가 어느 정도는 먹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MBC를 공격한 보수 언론은 더 큰 치명상을 입었다.

‘MBC 민영화’ 등 MBC가 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최홍재 방송문화진흥회 신임 이사는 “MBC는 공정성에서 KBS에 못 미치고 선정성에서 SBS를 능가한다. 그러나 비판 기능은 가장 뛰어난 방송사다. 언론은 권력을 감시해야 하는데 그에 가장 충실한 방송사다. 다만 사회적 쟁점을 소개하는 데 너무 일방적이라는 것이 문제다. 그것만 보완하면 더 신뢰도가 올라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신뢰도 조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양상은 MBC를 비롯해 정권에 비판적인 논조를 유지하는 언론에 대한 신뢰가 높다는 것이었다. 2007년과 비교하면 한겨레는 12.2%에서 19.2%로 7% 포인트 상승해 순위가 5위에서 3위로 두 계단 올랐고, 경향신문도 2.8%에서 8.7%로 5.9% 포인트 증가해 13위에서 8위로 다섯 계단 상승했다. 국민이 언론 본연의 기능인 권력에 대한 감시 기능을 중요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지난 1년여 동안 ‘낙하산 사장 퇴진운동’을 벌인 YTN의 뉴스 신뢰도가 증가해 SBS 뉴스를 제친 것 역시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노종면 YTN 노조위원장은 “내부 홍역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구성원들이 뉴스에 대해 이전보다 진지해졌는데 이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받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촛불정국 이후 조·중·동에 대한 불신 깊어져

이번 조사에서 KBS의 몰락과 함께 두드러진 변화는 조·중·동 등 보수 언론에 대한 불신도 증가가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이들 3사를 불신하는 언론사로 꼽은 응답이 2007년 조사보다 배 가까이 늘었다. 조선일보는 20%에서 34.2%(14.2% 포인트 증가)로, 중앙일보는 9.2%에서 20.8%(11.6% 포인트 증가)로, 동아일보는 11%에서 18.9%(7.9% 포인트 증가)로 급증했다.

이들 3사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 높아진 이유에 대해 조·중·동 광고주 불매운동을 전개하는 언론소비자주권연대의 김성균 대표는 “조·중·동의 왜곡 보도는 항상 있어왔다. 중요한 것은 촛불 정국을 거치면서 평범한 시민이 이를 깨닫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촛불집회에 참여한 시민들이 자신을 폭도라 매도하고 배후 세력이 있다는 식의 왜곡 보도를 하는 것을 보면서 실체를 깨달았다”라고 말했다.

조·중·동 3사가 가장 부담스러워하는 것은 ‘정권에 우호적인 언론’이라고 낙인이 찍히는 일이다. 이들 3사가 방송에 진출할 길을 터준 미디어법 개정이 추진되면서 이런 인식은 더욱 강해졌는데 최근 이들은 ‘MB 비판 언론’이라고 주장하며 국민의 이런 선입관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애쓴다. 조선일보는 8월5일자 사설에서 “청와대 핵심 관계자가 조선일보를 현 정권에 ‘까칠한’ 대표 매체로 꼽았다”라며 자신들을 변호하기도 했다.   

조·중·동 3사는 이명박 정부에 대한 다양한 비판 보도를 쏟아내기도 했다. 문제는 이런 보도가 진정성 있는 비판으로 읽히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방송 진출 문제로 정부와 이해관계를 함께하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민언련 정연우 대표는 “국민이 미디어법은 잘 모르지만 조·중·동에 대한 불신이 워낙 커서 조·중·동에 방송을 준다니까 확 일어섰다. 그들에 대한 불신이 크고 광범위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라고 말했다.  


국민은 '공적 소유구조의 비판언론' 선호해

이번 신뢰도 조사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난 양상은 국민은 신문보다 방송을 더 신뢰한다는 것이었다. MBC·KBS·YTN 등 방송사는 신뢰도가 높고 불신도가 낮았고, 조·중·동 등 대표 일간지는 신뢰도가 낮고 불신도가 높았다. 이런 차이에 대해 김서중 교수는 “방송이냐 신문이냐 하는 매체 형태의 문제가 아니라 공적 소유냐 사적 소유냐 하는 매체 소유 형태의 문제로 봐야 한다. 지난 20년 동안 공영방송의 틀이 어느 정도 형성되었다”라고 말했다.

MBC·KBS·YTN 모두 공적 소유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근행 위원장은 “공적 소유구조를 가진 언론이 권력과 자본의 압력으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에 사적 소유구조를 지닌 언론보다 더 신뢰를 얻는다. 이런 언론을 사적 소유구조를 가진 언론으로 바꾸면 그 폐해는 엄청날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동안 보수 단체는 방송의 영향력이 신문에 비해서 훨씬 커졌고, 그 방송이 좌편향되어서 여론이 왜곡되었다고 주장해왔다. 그런 논리의 연장선상에서 방송을 열어줘서 여론 시장의 다양성을 추구해야 한다며 방송법 개정을 합리화했다. 한나라당이 개정을 추진하다 야당의 원천무효 주장으로 합법성 시비가 일고 있는 방송법은 신문사가 방송사를 소유할 수 있는 제도(지분 10%까지 허용)를 열어놓았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사적 소유구조를 가진 저신뢰 매체 보수 신문이 공적 소유구조를 지닌 고신뢰 매체 방송을 지배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언론연대 양문석 사무처장은 “방송의 영향력은 신뢰도에 기반한 것이다. 방송사 허가 조건을 정할 때 해당 언론사의 신뢰도도 포함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방송의 퇴보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라고 걱정했다.


주> 이 글은 <시사IN> 100호에 게재된 글입니다.


다음뷰에서 '마이뷰(http://v.daum.net/my)' 서비스를 시작했네요.
독설닷컴 마니마니 구독해 주세요.
그리고 독설닷컴 트위터(http://twitter.com/dogsul) following 부탁드려요.
이것저것 요구하는 게 많네요. 죄송죄송.
더욱 성실히 포스팅해서 보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