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어른의 여행, 트래블러스랩
  • 어른의 여행 큐레이션, 월간고재열
  • 어른의 허비학교, 재미로재미연구소
블로거 인큐베이팅 프로젝트/보도자료 닷컴

MBC 뉴스 vs KBS SBS 뉴스 (민언련 보도자료)

by 독설닷컴, 여행감독1호 2009. 1. 29.
 

1월 23~27일 방송 3사 저녁종합뉴스 일일 브리핑

KBS, 살인진압 책임자 처벌 요구가 ‘국론 분열’?

  

1. KBS, ‘국론 분열 막자’며 용산참사 본질 흐려

  -MBC, 검찰 수사 미진한 부분 적극 제기해 차이

  

검찰이 경찰의 살인진압을 제대로 수사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한편, 23일 민주당은 경찰 무전내용을 공개하며 경찰이 용역업체직원들과 함께 진압작전을 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나 KBS와 SBS는 검찰의 수사내용을 단순전달하며 검찰 수사의 문제점을 제대로 보도하지 않았다. 특히, KBS는 23일 검찰 수사 보도에서 ‘전철연 개입’을 부각하고 민주당이 제기한 ‘용역 개입 의혹’은 제대로 보도하지 않았다. 심층보도에서도 ‘국론 분열을 막아야 한다’며 용산참사의 본질을 흐리는데 앞장섰다. SBS는 검찰의 화재원인 수사가 난항을 겪는 이유가 ‘철거민의 진술 거부’ 때문인 것처럼 보도하기도 했다. 반면, MBC는 검찰 수사에서 미진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제기하고, 용역직원들의 폭력성, 용산구청장의 ‘떼잡이 발언’ 등을 적극적으로 보도해 차이를 보였다.




 

KBS 뉴스9

MBC 뉴스데스크

SBS 8시뉴스

1월 23일(금)

건물 점거 주도

나흘째 추모집회

‘원인 공방’ 격화

심층취재-이해로 극복

인사 청문회 보류

간부소환..검거 나서

용역과 합동 작전”

추모..규탄

철저히 외면 당했다

설 이후 거취 결정

강력 반발.. 주춤

거취 설연휴 뒤 결정

경찰 간부 ‘줄소환’

의장 체포 나섰다

4일째 추모행렬

용역업체 동원 논란

분쟁조정위 추진(단신)

1월 24일(토)

무전기록 분석중

‘용역 동원’ 파문

방화 추정 불

“이런 일 다신 없어야”

긴박했던 참사 순간

“거짓해명”..“악용 말라”

서울청 차장 소환

“떼잡이” 발언 파문

애도발길 이어져

“용산참사 안타깝다”(단신)

“과잉 진압 책임 크다”

통신 기록 분석 중

1월 25일(일)

일부 용역 직원 동원

과실 여부 수사

“공포 느꼈다”

용역업체 압수수색

1월 26일(월)

침통…

“용역 직원 있었다”

진상규명 호소

화재원인 수사 ‘난항’

1월 27일(화)

“경찰이 장애물 제거”

보고 과정 조사

심층취재-풀어야 할 의문점

용역 직원 없었다

거취 결정 고심

[표] 1월 23일~27일까지 방송3사 ‘용산참사’ 관련 보도




KBS 23일 <건물 점거 주도>(민경욱 기자)는 전철연 의장의 시위 개입 문제에 초점을 맞춰 검찰 수사 소식을 전했다. 보도는 전철연 의장이 “전국 각지에서 회원 40여 명을 모아 용산으로 이동한 뒤 용산대책위 회원 10여 명과 함께 옥상 침투와 망루 설치, 건물 사수를 맡는 조를 편성하는 등 건물 점거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며 “이해 당사자가 아닌 전철연이 어떤 경위로 용산대책위를 지원하게 됐는지, 지원에 대한 대가로 금품 제공 약속은 없었는지가 위법성을 밝히기 위한 검찰 수사의 초점”이라고 전했다. MBC와 SBS가 적극적으로 보도한 경찰의 과잉진압 문제는 뒷부분에 간단하게 다뤄졌다.



<‘원인’공방 격화>(김환주 기자)는 민주당이 경찰 무
전내용 녹취를 근거로 경찰과 용역업체 직원들이 함께 진압작전을 수행했다는 의혹을 제기했으나 ‘전철연의 조직적 개입으로 참사가 커졌다’며 전철연을 비난한 한나라당의 주장을 함께 실어 용역업체 동원 의혹의 심각성을 물타기했다.  



<심층취재-‘이해’로 극복>(이준삼 기자)은 용산참사의 본질을 흐리는 대표적 보도였다. 보도는 ‘경찰의 과잉 진압이 문제다’, ‘폭력시위는 안된다’는 시민들과 정치권의 엇갈린 입장을 나열했다. 이어 “감정적으로만 봐서는 풀리지 않는다”, “만일 경찰관 희생이 더 많았다면 여론은 크게 달라졌을 것”, “생존권이 아무리 절박하다해도 불법과 폭력까지 용인되지 않는다”며 경찰 살인진압에 대한 비판을 ‘감정적인 것’으로 몰고 사태의 본질을 ‘물타기’했다. 또 “이번 참사로 국론이 장기간 갈라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처벌할 부분과 책임질 부분 그리고 개선할 부분을 찬찬이 가려 재발을 막는 계기로 삼는 것이 중요하다”며 철저한 수사와 살인진압의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국론분열! 호도했다.


24일 <무전기록 분석중>(최서희 기자), <‘용역 동원’ 파문>(송영석 기자)은 용역업체 직원들을 경찰 진압에 동원했다는 민주당의 의혹을 다뤘다. <“이런 일 다신 없어야”>(김범용 기자)는 용산참사에 대한 이명박 대통령 라디오 방송 내용을 단순 전달하는데 그쳤다.


25일 <“일부 용역 직원 동원”>(노윤정 기자)은 검찰이 용역업체를 압수수색 했다는 소식을 전하고 “용산참사 대책위원회도 점거 농성중인 건물에 사고 하루전까지 용역 직원들이 수시로 드나들었다며 유착 의혹을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26일 <침통…>(김경진 기자)에서는 분향소에서 설날을 보낸 유가족들 모습을 보도했다.


27일 <“경찰이 장애물 제거”>(정윤섭 기자)는 “실제로 장애물을 제거한 것은 용역업체 직원이 아니라 경찰특공대라는 진술을 확보했다고 검찰은 밝혔다”며 “이 무선 교신은 실행되지 않은 계획일 뿐이라는 경찰의 해명이 사실로 보인다는 게 검찰의 입장”, “검찰은 특히 용역업체 직원들이 장애물 제거에 동원 됐다고 해도 형사 처벌 대상은 아니라고 밝혔다”며 의혹제기가 사실이 아니라고 단순 전달하는데 그쳤다.



MBC는 방송3사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경찰의 과잉 진압’ 문제를 다루고, 심층보도를 통해 검찰 수사에서 미진한 부분을 지적했다. 민주당이 제기한 ‘용역 동원 의혹’도 적극적으로 보도하며 경찰의 해명에 의혹을 제기했다.


23일 <“용역과 합동 작전”>(송양환 기자)은 민주당이 제기한 ‘경찰-용역 합동 작전’ 의혹을 다뤘다. 보도는 민주당의 의혹제기와 무전 녹음 내용을 전하며 ‘용역업체 직원은 진압에 참여하지 않았다는 경찰의 해명을 전한 뒤, “당시 부상자 중에는 용역업체 직원 한 명도 포함돼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철저히 외면 당했다>(민경의 기자)는 이번 참사가 있기까지 누구도 용산철거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보도는 “과격시위, 폭력시위는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면서도 “행정당국과 경찰, 그리고 정치인과 기자들에게까지 드러낸 철거민들의 극도의 불신은 그들이 의지할 곳 없이 극한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며 “경찰은 공공의 안녕을 지키기 위해 강경진압에 나섰다고 하지만, 약자에 대한 작은 배려가 없다면 사회의 안전은 위협받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강력 반발.. 주춤>(박성준 기자)은 정치권의 입장을 보도했는데, 한나라당 내에서 “오늘쯤 김석기 청장을 사퇴시켰어야 했다는 반발기류도 만만치 않았다”며 “김 청장은 청소한다며 집을 모두 태운 것”이라는 홍준표 대표의 발언을 전하기도 했다.


24일 <긴박했던 참사 순간>(임명현 기자)에서는 경찰 특공대가 망루 지붕을 뜯고 진입하려는 장면과 지붕으로 물대포를 집중적으로 뿌리는 새로운 영상과 경찰 무전 내용을 공개했다.


<“떼잡이” 발언 파문>(민경의 기자)은 용산구청장이 용산 참사 당일 지역 주민들과의 간담회에서 한강로 개발을 자신의 치적으로 내세우면서 철거민들을 ‘세입자가 아니라 떼잡이’라고 발언했다고 전했다. 이어 “박장규 용산구청장은 철거민과의 대화에 소극적”이었고 “경찰의 강제진압 전에 있었던 면담요구도 조합의 일이라며 거절했다”며 “구청 담장에는 ‘생떼 쓰는 사람은 찾아오지 말라’는 플래카드를 걸어놓고 있다가 참사 사고 이후 재개발 조감도로 바꿨다”고 꼬집었다. 


25일 <과실여부 수사>(박충희 기자)는 검찰의 수사 내용을 전하고, 이어 <“공포 느꼈다”>(유충환 기자)에서는 “주민들은 사고 나기 몇 달 전부터 이들 용역직원들이 철거 예정 건물마다 협박성 글을 쓰고 다니고, 장사를 방해하기도 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참사 당시 농성장에 있었던 박모씨가 “경찰의 진압작전이 시작되기 전 건장한 용역 직원들이 건물 안으로 들어왔다고 증언”했다며 “각종 장비로 봉쇄된 3층과 옥상 출입구를 부수기 시작해 긴장감과 공포를 느꼈다”며 참사가 일어나기까지 용역직원들 개입 상황을 보도했다.


26일 <“용역 직원 있었다”>(박영회 기자)는 “검찰 관계자는 무전 내용으로 미뤄 당시 건물 안에 용역업체 직원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는 검찰 수사내용을 보도했다.


27일 <보고과정 조사>(강민구 기자)는 용역 직원이 없었다는 검찰의 결론을 전한 뒤, <심층취재-풀어야 할 의문점>(임명현 기자)을 통해 검찰 수사에서 미진한 점을 집중 제기했다. 새로 공개된 화면에서는 경찰 특공대가 망루를 내리친 뒤 망루 앞쪽에서 불길이 일었으나 다른 화면에서는 망루 안쪽에서 불꽃이 보이다가 아래쪽에서 불길이 나왔다며 ‘발화지점’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어 ‘화재원인’과 관련해서도 경찰 특공대가 망루 해체를 시도하다가 물대포를 집중해서 쐈다며 “경찰 특공대원들의 진압 과정에서 화염병이 어떻게 떨어지게 된 것인지가 검찰이 밝혀야 할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또 경찰 진압 과정에서 화재 및 추락위험 등에 적절하게 대처했는지에 대해서도 검찰이 밝혀야 한다고 보도했다.&nbs! p;



SBS는 검찰 수사 내용을 단순 전달하는데 그쳤으며, 검찰이 화재원인 조사에서 ‘난항’을 겪는 이유가 진술을 거부하는 철거민 때문인 것처럼 보도하기도 했다.


23일 <경찰 간부 ‘줄소환’>(김지성 기자)과 <의장 체포나섰다>(정성엽 기자)에서 각각 경찰의 과잉 진압 문제와 전철연 의장에 대한 검찰 수사 내용을 보도했다.


<용역업체 동원 논란>(최선호 기자)은 경찰이 용역업체와 함께 진압작전을 수행했다는 민주당의 의혹 제기를 보도했다. 이어 단신 <분쟁조정위 추진>에서 한나라당이 용산참사와 관련해 재개발 및 재건축 분쟁을 막기 위해 ‘분쟁조정위원회’를 의무적으로 두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24일 <“과잉진압 책임 크다”>(김호선 기자)는 SBS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용산 철거참사’의 책임소재에 대해서는 ‘경찰의 과잉진압’ 때문이라는 응답이 58.1%로 ‘철거민들의 과격시위’가 원인이라는 응답 32.4%보다 훨씬 많았다”고 전했다.


25일 <용역업체 압수 수색>(이승재 기자)에서는 정병두 수사 본부장이 “경찰 무선교신 내용을 분석한 결과, 현장에 용역업체 직원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며 “실제로 용역업체가 현장에 없었다는 경찰 해명과는 달리, 무선교신에선 업체 직원이 여러 번 언급된다”고 전했다.


26일 <화재원인 수사 ‘난항’>(이한석 기자)은 앵커멘트에서 “감식 결과만으로는 정확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데다 일부 관련자들이 조사를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언급 한 뒤, “특히 입원 치료를 이유로 진술을 거부하고 있는 철거대책위원장 이 모 씨를 강제 조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며 화재원인 수사가 난항을 겪는 이유가 철거민 때문인 것처럼 보도했다.


27일 <용역직원 없었다>(정성엽 기자)는 ‘용역직원은 없었다’는 검찰의 수사내용을 단순 전달하는데 그쳤다. <거취 결정 고심>(김성준 기자)는 청와대가 김석기 경찰청장의 거취에 고심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