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과 아버지, 그리고 내가 얻은 교훈
나는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진실을 1987년 여름에서야 알았다.
중학교 1학년 때였다.
진실을 알 수 있었던 것은 우리집에 전남대학교 농활대 학생들이 묵었기 때문이었다.
처음에 대학생들이 내방을 일주일 넘게 사용한다는 얘기를 들었을 때, 나는 싫었다.
중학생이 되어 처음으로 내방을 갖게 되었는데 그걸 내주는 것이 내키지 않았던 것이다.
그래서 대학생들이 우리집에 처음 왔을 때 나는 건성으로 인사했다.
그리고 마을 아이들을 모아 농민가 등을 가르쳐 주었지만 나는 가지 않았다.
그러나 그날 밤 그 영상물을 보고 모든 것이 바뀌었다.
나중에 그 영상물을 제작한 사람이 ‘푸른 눈의 목격 자’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독일 언론인 유르겐 힌츠페터 (Juergen Hinzpeter)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한 마디로 표현하면 세계관이 바뀌었다.
전두환 대통령으로 상징되는 주류 세계에 대한 신뢰가 깨졌다.
그때 이후로 '주류'에 대한 지향성이 사라졌다.
'서울의 봄'과 6월 항쟁을 지나 민주화의 열기로 뜨거웠던 여름이었지만
시골은 아직 겨울이었다.
대부분의 동네에서 대학생들의 농활 자체를 받아주지 않았다.
우리 마을에서는 우리집과 마을에서 가장 잘 살던 다른 한 집만 대학생들을 받아주었다.
가장 잘 사는 집이 농활대의 본부격으로 이용되었고 우리집엔 주로 1~2학년 남학생들이 묵었다.
(그때 내 방에 묵었던 전남대 86학번 87학번 형들이 보고싶네요.
제 기억에는 화학공학과였던 것 같은데...)
농활대가 떠나고 나서 농활대를 우리집에 받아준 것이 결단의 산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면사무소와 농협과 지서를 통해 여러 가지 압력이 왔다고 했다.
아버지는 "우리 마을에 일하러 온 학생들을 한데서 재울 수 없다"며 집에 들인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험악한 시절, 아들에게 소중한 추억이 될 멋진 판단을 해주신 그 시절의 아버지에게 감사드린다.
아버지는 그 이듬해 암으로 돌아가셨다.
대학생들을 집에 들인 것은 두 가지를 포기한 결단이었다.
하나는 이장이든 뭐든 관과 관련된 자리를 포기하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농협 대출 등 관의 도움을 받을 기회를 포기하는 것이었다.
평범한 시골 농부에게 쉽지 않은 판단이었을 것이다.
무엇보다 그들에게 찍히는 일이었을테니...
자식들에게 물려줄 재산은 없었지만 아버지는 빚을 지고 살지는 않았다.
'자립'이 아버지가 보여준 용기의 비결이었다.
그때 내가 배운 것은,
욕심을 버리고 부지런히 살아야 제 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 것이었다.
나중에 시사저널 파업 때 이 평범한 진리를 다시 확인했다.
나중에 정치할 욕심이 있던 선배,
삼성과 내통하고 있었던 선배,
신용불량자 상태였던 선배,
이들 셋만 동료들을 배신하고 사주에 들러 붙었다.
억압과 탄압만이 진실의 목소리를 막는 것이 아니다.
욕심을 버리고 자신의 일에 충실해야 한다.
YTN MBC KBS 파업 때도 똑같이 확인했던 진리다.
간부직 욕심 없고, 자기 일로 인정받았던 기자 PD 아나운서들이 화를 입었다.
그들만이 목소리를 낼 수 있었으니까...
33년 전 공수부대에 학살당한 광주 시민들이 다시 공격받고 있다.
거짓으로 광주를 왜곡하는 사람들의 모습에서 반대의 진리를 읽는다.
욕심이 많고 제 앞가림도 못하고 찌질하면 거짓의 목소리를 낸다는 것을...
기회의 땅, 종편으로 간 그들에게 광주는 단지 이야기꺼리에 지나지 않았다.
'달콤 살벌한 독설 > 독설닷컴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재기의 투신과 안도현의 투시는 다르지 않다 (6) | 2013.07.30 |
---|---|
서울, 기억의 시효를 묻다 (0) | 2013.05.30 |
소셜미디어 한계론의 한계, 혹은 문제점 지적의 문제 (0) | 2012.05.30 |
괴담은 꽃일 뿐 뿌리가 될 수 없다 (4) | 2011.12.08 |
토론대회에서 이기는 몇 가지 방법 (9) | 2011.09.22 |